중요한 개념과 단어 설명은 TTA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및 용어 설명 사이트를 참고하였습니다.
https://terms.tta.or.kr/main.do
http://www.ktword.co.kr/index.php
Wiki(https://www.wikipedia.org/)와 copilot의 도움도 받았음을 밝힙니다.
<목차>
- 터미널박스
- 구내 선로
- MSPP
1. 터미널박스 (Terminal box)
- 국선용 단자함 (terminal box for central office line) 이란?
전화국 측에서 오는 배선 선로(배선 케이블)을 수용하는 함체(탄기반,단자판 등 포함)를 말함
* 단자함
- 시내 배선케이블을 가입자 인입선에 접속하기 위한 단자를 수용하는 함체로서
통상, 전주에 설치되며 가공 배선케이블의 가입자 인입점 또는 RD선으로의 분기점에 사용됨
* 단자함 구성
- 단자블럭 (Terminal Block)
- 외함 (Housing)
- 스탑케이블 (Stub Cable)
* 단자함 분류
- 시내단자함 1,2호 : 배선용
- 종말단자함 : 종말전주의 가입자 인입용, 5P,10P,15P,25P 4종류
* 현수형 단자함 : CCP 케이블의 배선용
* 직매형 단자함
* 알루미늄 단자함
2. 구내 선로
- 구내통신용 기자재로써 단자함
통상, 동선 접속을 위한 단자들이 모아진 함체를 말하며,
아파트단지에서 보면, 동단자함, 층단자함, 세대단자함 등이 있음
- 중간 배선반 (IDF)
* 전화국 국사(局舍) 등에서 장비 시설계 상호간을 접속하는 분계점을 말하며
연결/중계/증폭하는 등의 중간 조정을 주목적으로 설치 됨
* 주요 역할
- 케이블 관리
- 연결 포인트 제공
- 신호 분배 등
* 구내통신선로설비에서는 IDF를 배관의 굴곡점이나 선로의 분기/접속을 할
필요지점에 설치. 주로, MDF로부터 연결된 간선 케이블을 IDF에서
각각의 층이나 지역에 연결하는 역할을 함
- 주 배선반 (MDF)
* 외부,내부 회선을 연결하는 배선반. 옥외 외선을 옥내 장치로 인입하는 곳에 설치됨
* 내외부 접속 분계점
구내 교환설비를 건물주가 설치운용할 경우 MDF를 사업자와 가입자간의 접속분계점으로 본다.
* 구내 배선의 시작점 : 구내/건물 전체 통신선로의 분기점 역할을 함
* 통신기기 보호
- 케이블에 유입되는 과전류로부터 통신기기 보호
- 케이블 선로 및 기기의 상태 감시
- 내부 및 외부 선로 간 절분 시험 등
3. MSPP (Multi Service Provisioning Platform)
- 모든 서비스를 통합하는 하나의 기술이 아니라 여러 기술 또는 계층을
단지 하나의 장비에서 통합 구현하는 방식
- 기술적 특징
* 여러 서비스 및 계층을 하나의 공통 플랫폼으로 통합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장비
- 기본적으로 SONET/SDH에 의한 Add/Drop Multiplexing 기능에 기초하여
하나의 단일 섀시 공간 안에 OC-3/OC-12/OC-48/OC-192 등 다양한 신호계위에 대해
SONET/SDH ADM (분기결합)과 디지털 크로스커넥트 (교차연결) 기능을 통합
* PSTN, IP, SAN 등 모든 신호를 동일 장비(One Box) 내에서 수용이 가능
* 기존 SDH/SONET 장비의 차세대 후속모델로 기대됨
- 소위 NG-SDH라고도 불리움 (Next Generation SDH/SONET)
- 차세대 SONET/SDH 장비와는 달리 각각의 트래픽 유형에 대한 별도의 스위칭 패브릭들도 제공
- 장점
* 기존 SDH 망 및 인프라를 그대로 사용하면서 다양한 서비스 제공
기존의 동기식 뿐만 아니라, 이더넷, SAN, 기업 데이터/음성 전용회선 등 등
* 대역폭을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씩 세분화, 속도의 고속화 제공 가능
622 Mbps, 2.5 Gbps, 10 Gbps 등 N*M Mbps 단위의 세밀한 트래픽 제어관리가 가능
* 자동으로 가상망 구성이 가능하며 다양한 형태의 망구성이 가능
PTP, Ring Type, Multi-Ring, Subtending-Ring 등
- MSPP 구분
* Transport-based MSPP (SDH/SONET 기반) :
기존의 SDH/SONET, ADM, OXC 기반의 회선 스위칭 구조
* Data-based MSPP (비 SDH/SONET 기반)
이더넷을 기반으로하는 데이터 스위칭 구조

** SONET (Synchronous Optical Network)
광 전송용 동기식 다중화 방식에 의한 디지털신호계위의 북미 표준
T1 committee(T1 위원회)가 북미 표준으로 채택, 발전시킴

'자격증 > 정보통신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본이론 - 정보시스템운용(6) - WPAN (1) | 2025.05.26 |
---|---|
기본이론 - 정보시스템운용(5) - 토폴로지, 망분리 (0) | 2025.05.26 |
기본이론 - 정보전송(11) - 논리회로 (0) | 2025.05.25 |
기본이론 - 정보설비기준 (0) | 2025.05.24 |
기본이론 - 정보시스템운용(3) - Security, Cipher, TMN, Signing (3) | 2025.05.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