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목차>
- 동기식 전송
- 비동기식 전송
동기식 전송(Synchronous Transmission)과 비동기식 전송(Asynchronous Transmission)은 데이터를 전송할 때 타이밍을 맞추는 방식에 따라 구분된다.
1. 동기식 전송 (Synchronous Transmission)
항목 | 설명 |
타이밍 방식 | 송신자와 수신자가 공통된 시계(clock) 또는 동기 신호를 사용하여 타이밍을 맞춤 |
데이터 단위 | 블록 단위 또는 연속적인 데이터 스트림 전송 |
전송 효율 | 효율이 높음 (제어 비트나 간격이 적음) |
오버헤드 | 적음 (Start/Stop 비트 없음) |
하드웨어 복잡도 | 상대적으로 복잡 (동기 회로 필요) |
사용 예 | LAN, 고속 네트워크, 모뎀 간 통신, 디지털 회선 |
2. 비동기식 전송(Asynchronous Transmission)
항목 | 설명 |
타이밍 방식 | 공통된 시계 없음 각 문자의 시작과 끝에 특수 비트로 동기화 |
데이터 단위 | 문자(Character) 단위로 전송 (보통 8비트 + Start/Stop 비트) |
전송 효율 | 효율 낮음 (문자마다 제어 비트가 붙음) |
오버헤드 | 높음 (Start/Stop 비트 필요) |
하드웨어 복잡도 | 간단 (별도 동기 회로 불필요) |
사용 예 | UART, 키보드, 시리얼 통신(RS-232 등) |
728x90
'자격증 > 정보통신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본이론 - 정보통신기기(5) - 데이터압축, 해상도, 전송방법 (0) | 2025.05.27 |
---|---|
기본이론 - 정보통신네트워크(6) - RFID, USN (1) | 2025.05.26 |
기본이론 - 컴퓨터일반 - CD/MD, CPU, Addressing, 하드디스크 (1) | 2025.05.26 |
기본이론 - 정보시스템운용(6) - WPAN (1) | 2025.05.26 |
기본이론 - 정보시스템운용(5) - 토폴로지, 망분리 (0) | 2025.05.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