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격증/정보통신기사

기본이론 - 정보통신네트워크(1) - 통신망, OSI-7계층

by 슈케르 2025. 5. 18.
반응형

중요한 개념과 단어 설명은 TTA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및 용어 설명 사이트를 참고하였습니다.

https://terms.tta.or.kr/main.do

http://www.ktword.co.kr/index.php

Wiki(https://www.wikipedia.org/)와 copilot의 도움도 받았음을 밝힙니다.

 

<목차>

  1. Network, 통신망
  2. OSI-7계층

 

1. Network (통신망)

  LAN : 지역망, MAN : 도시망, WAN : 광역망

  Personal Area Network (PAN) : 개인 통신망

 

WAN, 출처 : https://namu.wiki/w/%ED%86%B5%EC%8B%A0%EB%A7%9D

 

WAN, 출처 : https://namu.wiki/w/%ED%86%B5%EC%8B%A0%EB%A7%9D
출처 : https://namu.wiki/w/%ED%86%B5%EC%8B%A0%EB%A7%9D
출처 : https://namu.wiki/w/%ED%86%B5%EC%8B%A0%EB%A7%9D

 

 

출처 : https://namu.wiki/w/%ED%86%B5%EC%8B%A0%EB%A7%9D

모든 컴퓨터끼리 완전히 1:1로 연결된 구조를 '풀 메쉬' 또는 'full connected'라고 한다.

풀 메쉬형의 회선수(회선경로 수)는 N(N-1)/2 이다. 6개의 node를 full connected 하기 위한 회선수는

6*5/2 = 15개 이다.

 

 

2. OSI 7계층

출처 : https://aws.amazon.com/ko/what-is/osi-model/

 

1) 애플리케이션 계층

애플리케이션 계층은 특정 유형의 애플리케이션 자체와 표준화된 통신 방법과 관련이 있다.

예를 들어 브라우저는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보안(HTTPS)을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고,

HTTP 및 이메일 클라이언트는 POP3(우체국 프로토콜 버전 3) 및 SMTP(간이 전자 우편 전송 프로토콜)를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2) 프레젠테이션 계층

프레젠테이션 계층은 주로 애플리케이션에서 전송하고 소비하는 데이터 자체의 구문과 관련이 있다.

예를 들어 하이퍼텍스트 마크업 언어(HTML), JavaScript 객체 표기법(JSON), 쉼표로 구분된 값(CSV)은 모두 프레젠테이션 계층의 데이터 구조를 설명 하는 모델링 언어이다. 

 

3) 세션 계층

세션 계층은 한 세션에서 서로 다른 두 애플리케이션 간의 네트워크 조정을 담당. 세션은 일대일 애플리케이션 연결 및 동기화 충

돌의 시작과 끝을 관리. 네트워크 파일 시스템(NFS)과 서버 메시지 블록(SMB)은 세션 계층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프로토콜

이다.

 

4) 전송 계층

전송 계층의 주요 초점은 데이터 패킷이 손실이나 오류 없이 올바른 순서 도착하는 것이나 필요한 경우 데이터 패킷을 원활하게 복구하는 것에 있다.

전송 계층의 초점은 보통 흐름 제어 및 오류 제어이다. 이 계층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프로토콜로는 거의 손실 없는 연결 기반

프로토콜인 전송 제어 프로토콜(TCP)과 손실이 많은 무연결 프로토콜인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DP)이 있다.

TCP는 일반적으로 모든 데이터가 손상되지 않아야 하는 경우(예: 파일 공유)에 사용되는 반면, UDP는 모든 패킷을 보존하는 것이 덜 중요한 경우(예: 비디오 스트리밍)에 사용된다.

 

5) 네트워크 계층

네트워크 계층은 분산된 네트워크 하나 또는 연결된 여러 네트워크의 노드 또는 머신을 통한 라우팅, 전달 및 주소 지정과 같은 개념과 관련이 있다. 네트워크 계층은 흐름 제어도 관리할 수 있다.

인터넷에서는 인터넷 프로토콜 v4(IPv4)IPv6주 네트워크 계층 프로토콜로 사용된다.


6) 데이터 링크 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은 물리 계층이 이미 존재하는 네트워크를 통해 두 시스템을 연결하는 데 사용되는 기술을 말함.

이 계층은 데이터 패킷에 캡슐화된 디지털 신호인 데이터 프레임을 관리.

데이터 링크 계층의 주요 초점은 보통 데이터의 흐름 제어오류 제어.

이더넷은 이 수준의 표준을 보여주는 예이다.

데이터 링크 계층은 보통 두 하위 계층인 매체 접근 제어(MAC) 계층논리 링크 제어(LLC) 계층으로 나뉜다. 

 

7) 물리 계층

물리 계층은 물리적 통신 매체와 해당 매체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을 말함. 기본적으로 데이터 통신은 광섬유 케이블,

구리 케이블 및 공기와 같은 다양한 물리적 채널을 통해 디지털 및 전자 신호를 전송하는 것. 물리 계층에는 Bluetooth, NFC,

데이터 전송 속도 등 채널과 밀접하게 관련된 기술 및 지표에 대한 표준이 포함된다.


** Piggyback 방식 **

  - 수신측에서 수신된 데이터에 대해 확인 응답(ACK)을 즉시 보내지 않고 별도의 제어 프레임도

    사용하지 않은채 전송할 데이터가 있는 경우에 만 사용.

  - 데이터 프레임 안에 확인 필드를 덧붙여 전송(Piggyback : 등에 업혀 보냄)함으로써 

     오류제어 및 흐름제어를 수행하는 방식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