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기사실기(4)-수변전
1. 다음의 표에서 약호와 명칭 빈칸을 채우시오
약호 | CH | DS | (1) | PF | MOF | (2) | CT |
명칭 | (3) | (4) | 피뢰기 | (5) | (6) | 트립코일 | (7) |
약호 | GR | OCR | VS | (8) | (9) | COS | PT |
명칭 | (10) | (11) | (12) | 전력용콘덴서 | 직렬리액터 | (13) | (14) |
(1) LA (2) TC (3) 케이블헤드 (4) 단로기 (5) 전력퓨즈 (6) 전력수급용 계기용변성기
(7) 계기용 변류기 (8) SC (9) SR (10) 지락계전기 (11) 과전류 계전기 (12) 전압계용 전환개폐기
(13) 컷아웃스위치 (14) 계기용 변압기
2. 다음 약호의 명칭을 쓰시오
(1) DM
(2) VAR
(3) VARH
(1) 최대수요전력량계
(2) 무효전력계
(3) 무효전력량계
3. ZCT를 차단기의 전원측(위쪽)에 설치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고장점 보호 범위를 넓히기 위해서
4. ASS의 명칭을 쓰시오.
고장구간자동개폐기
5. ASS의 LOCK전류값과 기능은?
ASS의 정격차단전류 : 900A
LOCK 전류값 : 800A ± 10%
과전류 LOCK 기능 정격차단전류(900A) 이상의 고장 발생 시 개폐를 보호하면서 전류가 LOCK 전류(800A±10%) 이상인 경우는 개폐기는 LOCK되며, 후비보호장치의 차단에 의해 고장전류가 제거된 후 무전압 상태에서 ASS가 차단된다.
6. ALTS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하시오.
자동부하전환개폐기(Automatic Load Transfer Switch) : 상용전원 정전시 예비전원으로 자동전환시킴으로서 부하의 정전 시간을 단축 할 수 있는 개폐기
7. LBS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하시오.
부하개폐기(Load Break Switch) : 수변전 설비에서 사용되는 개폐기로서 부하전류 차단 및 단락전류를 제한하기 위하여 한류형 전력퓨즈와 결합하여 단락 전류를 차단 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다.
8. 변전소의 주요 기능 4가지를 쓰시오.
1. 전압의 변성과 조정 : 전력의 경제적 수송
2. 전력의 조정과 배분
3. 전력 조류제어 : 전압조정과 무효전류에 의한 손실 경감
4. 전압의 조정 : 전기의 품질 유지
9. DC(방전코일)의 목적은?
콘덴서에 축적된 잔류전하를 방전하여 감전사고를 방지하고, 콘덴서 재투입시 콘덴서에 걸리는 과전압을 방지한다.
10. 큐비클의 종류 3가지를 쓰고 간단히 설명하시오.
1. CB형 : 차단기를 사용하는 것
2. PF-CB형 : 한류형 전력 퓨즈와 CB를 조합하여 사용
3. PF-S형 : PF와 고압 개폐기를 조합하여 사용
11. 한국전기설비규정 341.14 : 피뢰기의 접지 고압 및 특고압의 전로에 시설하는 피뢰기 접지저항 값은 ( ) 이하로 하여야 한다.
10 옴
12. 51, 51N, 87, 87T 의 기구번호의 명칭은?
51 : 교류 과전류계전기
51N : 중성점 과전류계전기
87 : 전류차동계전기
87T : 주변압기 차동 계전기